
국어교육전공(Major in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전공은 1993학년도에 교육대학원이 개원되면서 국어 교원 양성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병설로 개설되었다. 현재 4명의 전임교수가 배속되어 중등학교의 국어교육에 필요한 모든 분야들을 충실히 교육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전공개요와 교육목표
전공개요
국어교육전공은 1993학년도에 교육대학원이 개원되면서 국어 교원 양성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병설로 개설되었다. 현재 4명의 전임교수가 배속되어 중등학교의 국어교육에 필요한 모든 분야들을 충실히 교육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교육목표
국어교육전공은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국어교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어학(문법론, 의미론, 음운론, 표기법), 고전문학(고전소설, 고전시가, 구비문학, 한국한문학), 현대문학(현대소설, 현대시, 문학비평)의 세 영역의 과목을 이수하여 유능하고 전문성을 갖춘 중등학교 국어교사가 되도록 지도한다.
전임교원
성명 | 직급 | 최종학위 | 전공(연구분야) | |
---|---|---|---|---|
윤용선 | 주임교수 | 문학박사 | 국어학 | hiroyys@mju.ac.kr |
김지연 | 조교수(전문교수) | 박사 | 국어교육 | stacey98@mju.ac.kr |
연구분야 개요
연구분야 | 개요 |
---|---|
국어교육학 | 국어교육의 이론 및 구체적인 교육법을 연구한다.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성과 응용력을 배양한다. |
국어학 | 한국어의 역사, 문법론, 의미론, 음운론, 표기법 등을 연구한다. |
고전문학 | 근대 이전의 문학, 즉 한문학, 시가, 소설, 구비문학 등을 연구한다. |
현대문학 | 근대 이후의 문학, 즉 시, 소설, 평론, 수필 등을 연구한다. |
교과목 구성
구분 | 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교과 교육학 | 국어 101 국어 103 국어 104 국어 105 국어 109 국어 110 국어 111 국어 112 |
국어교재연구 및 지도법(Materials & Guidance in Korean) 국어 교육과정 연구(Research on Curriculum in Teaching Korean) 국어 교수법 세미나(Seminar in Korean Teaching Methods) 국어 교육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s in Teaching Korean) 국어교육론(Principles of Teaching Korean) 국어 논리 및 논술(Logic and discourse in Korean) 국어 학습 지도 연구(Research on guidelines for teaching) 국어 교육 논문 설계와 작성(Framing and drawing papers in Korean Education) |
2 2 2 2 2 2 2 2 |
|
교과 내용학 | 국어 209 국어 210 국어 211 국어 212 국어 213 국어 214 국어 215 국어 216 국어 217 국어 218 국어 219 |
학교문법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School Grammar) 작문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Composition) 한국 고전산문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한국 고전시가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Korean Poetry) 한국 현대소설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Modern Korean Fiction) 한국 현대시 교육연구(Teaching Methods of Modern Korean Poetry) 국어과 개별연구(Individual Study of Korean) 국어과 지도 연구(Research Guidance of Korean) 국어교육 지도 방법(Teach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한국고전 지도 방법(Teaching Methods of Korean Classical) 한국문학 지도 방법(Teaching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
2 2 2 2 2 2 2 2 2 2 2 |
교과목 해설
구분 | 과목 | 교과목명(영문명) |
---|---|---|
교육 | 국어 101 | 국어교재연구 및 지도법(Materials & Guidance in Korean) 국어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중등학교 국어과 교재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아울러 국어과 교수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와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국어 103 | 국어 교육과정 연구(Research on Curriculum in Teaching Korean) 현행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국어 수업의 구성 원리와 교육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현행 생활국어 및 국어 교과서 구성의 원리와 교육 과정의 배정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인 교수 방법의 수립을 위한 기초로 삼는다. |
|
국어 104 | 국어 교수법 세미나(Seminar in Korean Teaching Methods) 국어교육에서 중요시되어야 할 세 요소는 국어, 교사, 학습자로 요약되며 교사는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언어를 통한 사고력 형성에 조력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교수와 학습이라는 측면은 '교수법' 차원을 넘어선다. 이 강좌에서는 국어를 '가르친다'는 측면과 '배운다' 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인과 방법, 지향점 등에 대해서 기존의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롭게 구조화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
국어 105 | 국어 교육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s in Teaching Korean) 국어교육에서 수행평가를 비롯한 새로운 평가 방법의 개발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평가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인 관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점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국어 109 | 국어교육론(Principles of Teaching Korean) 국어교과 연구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연구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과의 개념과 연구 영역, 운용 체제, 실천의 문제를 개괄적으로 다룬다. 아울러 중등 국어교과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학습하고 지식 기반 사회에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열린교육에 입각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현장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국어과 교육과정, 교재, 교수-학습, 평가 등의 분야를 다루게 된다. |
|
국어 110 | 국어 논리 및 논술(Logic and discourse in Korean) 본 교과목은 연습과 토론을 통해 학습자의 논술 능력을 제고하고 교육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주제 선정 능력, 논리적 구성력, 명료한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두며, 바람직한 교육 방법과 방식에 대해 검토한다. 강의 방식은 연습과 토론을 위주로 하며, 학생은 수시 리포트를 작성한다. |
|
국어 111 | 국어 학습 지도 연구(Research on guidelines for teaching) 본 교과목은 기존 교과 과정과 텍스트 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분석 능력을 높임으로써 기존 내용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교육 수행을 위한 학습 계획 및 자료를 개발하는 능력을 익히는 과목이다. 주어진 자료에 대한 분석 능력을 강조하게 될 것이다. |
|
국어 112 | 국어 교육 논문 설계와 작성(Framing and drawing papers in Korean Education) 본 교과목은 학위 논문 작성을 지도하고 보조하기 위한 과목이다. 개별 논문 지도와 병행하여 주제 선정, 개요 작성, 자료 수집, 분석과 해석, 구성 방법 등 논문 작성의 각 단계를 실습을 통해 익히게 될 것이다. |
|
내용 | 국어 209 | 학교문법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School Grammar) 중등학교 학교문법 체계에 따라 국어의 문법 현상 전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국어지식 영역 교육의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에 직접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
국어 210 | 작문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Composition) 정확하고 효율적인 문장 작성을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지도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대중적인 글쓰기가 가능한 환경에서 쓰기는 국어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가 되고 있다. 쓰기는 표현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이룰 뿐 아니라 사고 훈련, 표현 훈련, 언어에 대한 이해, 맞춤법 등 언어적 표현 관습에 대한 이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강좌를 통하여 쓰기 중심의 표현 활동에 대해 종합적으로 점검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
|
국어 211 | 한국 고전산문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한국 한문학을 개관하고 각 장르에 대한 통시론적, 공시론적 연구를 통하여 문제의식을 심화하며,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한문과 한문문학 및 고전문학 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
|
국어 212 | 한국 고전시가 교육 연구(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Korean Poetry) 한국 고전문학의 흐름을 대표하는 작품 분석을 통해 이를 비판적으로 개관하면서 한국 고전문학의 특색과 전통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꾀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고전문학 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
|
국어 213 | 한국 현대소설 교육 연구(Teaching Methods of Modern Korean Fiction) 한국 현대소설의 구조, 기법, 특질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개별적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며, 현대소설에 대한 비판적 이론을 수립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현대소설 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
|
국어 214 | 한국 현대시 교육연구(Teaching Methods of Modern Korean Poetry) 한국 현대시의 본질을 이해하여 미래의 한국시가 나아갈 길을 모색할 수 있도록 현대 시인들과 현대시 작품을 분석 ㆍ 연구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현대시 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
|
국어 215 | 국어과 개별연구(Individual Study of Korean) 국어 및 국어교육에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지도교수와 상의하고, 연구논문의 설계 방법, 형식, 작성법 등을 익혀, 연구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
|
국어 216 | 국어과 지도 연구(Research Guidance of Korean)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국어 및 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학위청구논문 또는 학위연구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
|
국어 217 | 국어교육 지도 방법(Teach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현재의 국어과 교육원리에 기초를 두고 중등학교의 국어과 학습지도 방법과 수업 계획 작성에 대한 창의적인 방안을 탐색한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는 학생중심 교육을 위한 수업 방안을 모색해 본다. |
|
국어 218 | 한국고전 지도 방법(Teaching Methods of Korean Classical) 한국 고전의 흐름을 대표적 작품의 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개관하면서 한국 고전의 특색과 전통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시야를 갖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고전 교육에 직접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한다. 특히 오늘날의 문학적 감성과 다른 한국 고전의 특수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고전의 넓이와 깊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아울러 고전 강독을 통하여 인성 교육, 상담 능력 배양의 기틀을 모색한다. |
|
국어 219 | 한국문학 지도 방법(Teaching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문학 교육의 목적과 원리· 방법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한국어와 문학 교육의 실천적 지침이 될 수 있는 문학 교육이 무엇인가를 탐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