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양교육전공(Major in Nutrition Education)
학교급식을 통한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공동체 의식 및 사회성 개발,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을 담당하는 영양교사를 양성한다.
전공개요와 교육목표
전공개요
영양교사는 급식 관리와 더불어 학생 및 학부모 대상 영양 상담을 통한 영양관리 및 식생활지도 교육, 급식시간 교실 순회를 통한 교육( 식품 및 영양, 식사예절, 환경 위생 교육 등 )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육, 게시판, 인터넷, 방송을 통한 교육,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 등의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학교급식을 통해 올바른 식습관 지도, 편식 교정,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 개발, 전통식문화 및 세계 식문화의 체험, 식품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영양교육을 담당하는 영양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본 학과에 개설된 교과목의 이론 및 실습교육을 철저히 실행하고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도록 교육시킨다.
교육목표
학교급식을 통한 학생들의 바른 식습관 형성,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을 담당하는 영양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본 학과에 개설된 교과목의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철저히 실행하고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도록 교육시킨다.
전임교원
성명 | 직위 | 최종학위 | 세부전공 | 담당과목 | 전화번호 / E-mail |
---|---|---|---|---|---|
장윤희 | 주임교수 | 박사 | 식품과학 | 식품미생물학, 식품위생 및 법규, 식품재료학, 식품 가공학 및 실습 | 031-330-6202 yhchang@mju.ac.kr |
박혜련 | 교수 | 박사 | 지역사회영양학 | 지역사회영양학, 영양교육 및 상담, 영양판정 및 실습 | 031-330-6204 hrpark@mju.ac.kr |
송경희 | 교수 | 박사 | 영양학 | 식사요법 및 실습, 임상영양학, 고급영양학 | 031-330-6206 khsong@mju.ac.kr |
황진아 | 교수 | 박사 | 식품영양학 | 인체생리학, 영양생화학, 영양화학 및 실험, 식품영양분석 및 실험 | 031-330-6205 jhwang@mju.ac.kr |
최신식 | 교수 | 박사 | 생물화학공학 | 식품학, 공중보건학, 식품화학 및 실습, 발효식품학 및 실습 | 031-330-6478 sschoi@mju.ac.kr |
이영미 | 부교수 | 박사 | 단체급식 | 실험조리 및 실습, 단체급식관리, 조리원리 및 실습,급식경영학 | 031-324-1691 zeromi@mju.ac.kr |
강희진 | 부교수 (강의전담교수) |
박사 | 식품과학 | 보건사업관리, 조사방법론, 영양교육 | 031-324-1604 hijin7@mju.ac.kr |
연구분야 개요
연구분야 | 개요 |
---|---|
식품학, 조리학 | 식품의 구성성분 분석, 조리 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 천연 식품재료의 기능성 연구 |
영양화학, 생리학 | 인체의 생리ㆍ생화학의 원리를 연구하고, 이들의 이상으로 인한 질병에 관해 탐구한다. |
영양교육, 영양역학 | 지역사회 영양실태조사에 기초한 영양중재 및 효과판정, 영유아 영양과 성장,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영양학, 식사요법 | 생애주기 영양, 질환별 식사요법, 비만, 운동 및 노화에 대해 연구 |
식품미생물학, 식품가공저장학 | 급식위생관리와 HACCP, 식품의 가공 저장 방법 및 성분변화, 발효식품과 기능성 연구 |
교과목 개요
- 영양교육 및 상담실습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만성퇴행성 질환과 관련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요인 중 가장 중요시되는 바른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배우며 현장에 나가 영양사로서 영양교육을 시행하는데 부족함이 없게 교육 계획, 평가, 자료개발 등의 주제로 훈련한다. - 영양학 (Nutrition)
생체 내에서의 영양소 대사과정, 상호관계, 대사과정과 관련된 여러 기관의 생리적 과정 및 세포기능 등 영양학 전반에 걸쳐 연구한다. - 생애주기영양학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인간의 생활 주기와 주기의 이행 과정에서의 영양의 특수성을 학습함으로써 특수한 환경 하에서의 적절한 영양 관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단체급식 및 실습 (Institutional food service and Lab.)
전문 영양사로서 산업체, 학교 및 병원 등의 현장에 나가 단체급식을 관리함에 있어서 필요한 제반 이론 및 기능을 습득하여 기획, 발주, 논리, 급식, 평가하는 모든 과정에 걸쳐 원만한 급식 관리를 해 나가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기초 지식 외에 적응력, 응용력을 향상시킨다. - 식품위생학 (Nutrition and environment)
미생물, 식품첨가물, risk communication, 자외선 조사와 유전자 조합 식품 등의 최신 식품생산, 가공기술, 식품위생법규, 소비자 의식 등 식품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과정에 관련한 식품위생 문제와 이슈를 강의, 토론, 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해 익힌다. - 영양판정 및 실습 (Nutritional assessment and Lab.)
신체계측방법, 생화학적 분석 방법, 식생활 평가 방법 등을 정확히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영양 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인별 경험을 갖도록 지도하며 현장에서 필요한 평가 도구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 식사요법 및 실습 (Diet therapy and Lab.)
식사요법은 질병 및 취약기의 영양 원리를 이해하며 또한 질병의 영양관리에 이를 응용하여 신속한 건강회복과 건강향상을 위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일반 병인식의 종류를 배움으로서 현실적으로 환자의 영양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식품학 (Food science)
식품의 주요 구성성분인 수분,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화학적 구조를 학습하고, 이에 기인하는 화학 반응과 물리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에서 유래하는 기능적 특징을 알아본다. 식품내의 이러한 성분들이 저장, 가공, 조리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변화가 식품과 음식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식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데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조리원리 및 실습 (Principles of cooking and Lab.)
식품의 조리나 가공 시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실험을 통하여 식품 화학적, 물성학적, 관능적 측면 등 다각적으로 다룬다. - 식품영양세미나 (Seminar in food & nutrition)
식품, 영양, 조리, 급식 등 영양교사 관련 분야의 연구에서 문제점과 연구 동향을 알기 위해 주제별로 선정하여 발표, 토의한다. - 지역사회영양학 (Community nutrition)
지역사회에서 존재하는 영양문제의 진단과 영양사업 수행의 기초가 되는 모델 및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국내에서 연령층별 영양문제는 무엇인지 어떤 영양사업이 시행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외국의 영양사업과 비교하며 앞으로 영양사업의 방향을 마련한다. - 아동 및 청소년 영양관리(Child and adolescent nutrition)
학교급식의 주체인 아동, 청소년의 영양관리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 이론을 습득하고, 아동과 청소년의 영양 문제 분석 등을 통하여 영양관리의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