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교육전공(Major in English Education)
명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는 학생들의 영어교육과 영어교수 지도를 담당하는 능력 있는 영어 전문가를 배출하여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공개요와 교육목표
전공개요
명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는 1956년 설립된 이래 명지대의 역사와 함께하며 발전되어 왔다. 1993년도 3월 1일 교육대학원이 개원되면서 교육학과에 영어교육전공을 개설하였다. 그 이후, 영어교육의 기본이 되는 영어학, 영문학, 영미문화에 대한 학습과 영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효과적 연구를 수행하여, 학생들의 영어교육과 영어교수 지도를 담당하는 능력 있는 영어 전문가를 배출하여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목표
영어 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교수법을 연구하여 현직 초ㆍ중등학교 영어 교사와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선생님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재교육은 물론 영어교육 특정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창조적 능력의 영어교육 전문가를 양성한다.
전임교원
성명 | 직급 | 최종학위 | 전공(연구분야) | |
---|---|---|---|---|
윤정미 | 교수 | 박사 | 언어학(통사론) | jmyoon@mju.ac.kr |
장지연 | 조교수(전문교수) | 교육학박사 | 영어교육 | jchang@mju.ac.kr |
연구분야 개요
연구분야 | 개요 |
---|---|
영문학 | 영어권 문화와 영어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영문학의 시, 소설, 드라마, 비평 등에 대한 연구이다. |
영어학 | 영어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그리고 응용언어학 등의 제 분야를 심도 있게 연구한다. |
영어교육 | 영어교육의 원리, 목표, 이론,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구 및 분석 등 영어교육 전반에 관련된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한다. |
교과목 구성
구분 | 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교과 교육학 | 영어 102 영어 103 영어 107 영어 108 영어 109 영어 110 영어 111 영어 112 영어 113 |
영어교재연구 및 지도법(Materials development and English pedagogy) 영어교수법이론(English education methodology) 영어교수법세미나(Seminar in English Teaching) 영어교육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과정연구(Curriculum development in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론(English education theories) 영어학습지도와 평가론(English pedagogy and evaluation) 영어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English education) 영어논리 및 논술(Logical thinking and writing in English) |
2 2 2 2 2 2 2 2 2 |
|
교과 내용학 | 영어 213 영어 214 영어 215 영어 216 영어 217 영어 218 영어 219 영어 220 영어 221 |
영어학개론특강(Lectures in English Linguistics Theory) 영어음성ㆍ음운론연구(Intensive Studies in English Phonetics and Phonology) 영미문화세미나(Seminar in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영어작문특강(Advanced English Composition) 연구지도(Supervised Thesis Writing) 영문학개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Literature) 영어문법연구(Advanced English Grammar) 영어회화특강(Advanced English Conversation) 영어독해특강(Advance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
2 2 2 2 2 2 2 2 2 |
교과목 해설
구분 | 과목 | 교과목명(영문명) |
---|---|---|
교육 | 영어 102 | 영어교재연구 및 지도법(Materials & Guidance in English Language) 외국어 교육의 원리와 학습 심리에 기초를 두고 중등학교의 영어과 학습지도 방법과 수업 계획 등을 실제적인 면에서 연구한다. |
영어 103 | 영어교수법이론(Studies in English Teaching Theories) 학습자 중심의 언어 교수 이론을 연구하고, 실정에 알맞은 새로운 교수법을 개발하여 실시하며, 이에 따른 문제점을 검토 연구한다. |
|
영어 108 | 영어교육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Teaching) 영어 교육의 특별주제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발표하도록 함으로써 영어교육에 관련된 지도력을 함양 하도록 한다. |
|
영어 109 | 영어교육과정연구(Special Topics in English Teaching) 제7차 교육과정에서 학교별 교육과정 개발을 요구함에 따라 영어교육과정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이론과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다. |
|
영어 110 | 영어교육론(English Language Teaching) 영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 영어 교육의 목표,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분석 등 영어 교육 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 |
|
영어 111 | 영어학습지도와 평가론(English pedagogy and evaluation)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원리, 영어과 평가의 특성 및 장단점을 유형별로 검토하고 더 나아가 효율적인 평가방법과 방향 등을 연구한다. |
|
영어 112 | 영어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English Education) 연구 논문의 설계 방법과 형식 등을 학습하고, 관련 분야의 논문을 검토 분석한 후 개인별로 영어교육관련 연구 논문이 작성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
영어 113 | 영어논리 및 논술(Logical Thinking and Writing in English) 영어로 사고하고 그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
|
내용 | 영어 213 | 영어학개론특강(Lectures in English Linguistics Theory) 영어학 전반에 관한 이론(음성.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을 연구하고 이 지식을 영어교육현장에 적용시키도록 한다. |
영어 214 | 영어음성 ㆍ음운론(English Phonetics) 영어 음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확한 발음을 익히고, 발음과 관련된 문제들을 연구할 뿐만 아니라 영어의 음운체계, 음소 배합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영어의 음운 구조를 연구한다. |
|
영어 215 | 영미문화세미나(Advanced English Composition)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작문 능력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용적인 영어작문을 쓰도록 지도하기, 위한 이론과 실기를 익힌다. |
|
영어 216 | 연구지도(Research Guidance)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영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지도를 받아 연구하며, 학위청구논문 또는 학위연구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
영어 217 | 연구지도(Research Guidance)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영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지도를 받아 연구하며, 학위청구논문 또는 학위연구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
영어 218 | 영문학개론특강(Lectures in English Literature) 영문학 전반에 관한 이론(소설학, 시학, 연극학)을 연구하고 이 지식을 영어교육현장에 적용시키도록 한다. |
|
영어 219 | 영어문법연구(Research in English Grammar) 현대영어의 전반적인 문법이론을 연구하여 영어교육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적용방법을 모색한다. |
|
영어 220 | 영어회화특강(Lectures in English Conversation) 영어교육 관련 토픽에 대한 원어민과의 영어토론을 통해 영어의 청취 능력과 회화 능력을 함양한다. |
|
영어 221 | 영어독해특강(Lectures i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문학적인 현대 영미산문은 물론, 영어교육현장에서의 활용가치가 높은 다양한 내용과 성격의 영문 글들을 분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