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로·학습 컨설팅 전공은 진로 및 학습 영역의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진로 및 학습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 소개
전공 특성 및 교육목표
진로·학습 컨설팅 전공은 진로 및 학습 영역의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진로 및 학습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는 학습자를 배려하여 토요일 주말 수업으로 학위과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 1초·중등 교사들에게 교육 현장의 경험을 살려 진로·학습 영역의 전문 역량을 겸비하도록 한다.
- 2민간교육 종사자들에게 현장을 선도하는 진로·진학·학습 관련 컨설팅(코칭) 능력을 함양한다.
- 3기존 상담분야 종사자들에게 진로·진학·학습 관련 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실무 역량을 기른다.
주요 교육 분야
일반 | 상담 및 코칭, 청소년 심리발달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과목예: 상담이론과 실제, 코칭 이론과 실제, 심리검사, 발달심리, 진로·학습 컨설팅 전문가 역량개발 및 직업윤리, 이상심리, 성격심리, 특수아상담, 행동수정, 진로·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방법, 논문지도 |
---|---|
진로 | 진로 및 진학과 관련한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청소년 상담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과목예: 진로 상담, 교육세계와 진로·진학정보 탐색, 진로교육기획 운영 및 진로포트폴리오 지도법, 학부모 진로·진학 상담, 진로진학교육 교재연구 및 교수법, 고교입학전형제도의 이해와 실제 |
학습 | 학업상담, 학습 코칭 과련 이론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학업문제를 다룰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과목예: 학습 상담, 학습이론 및 학습전략, 학습컨설팅,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 교육연구 및 평가, 스마트 러닝과 미래교육 개발 |
주임 교수
성명: 이자명
연락처: jmyi1012@mju.ac.kr
교과목구성
상담·컨설팅 일반
상담이론과 실제(Theories and Practices of Counseling)
상담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의 발달 배경과 그 특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실제 상담장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상담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각자의 개인적 상담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하도록 돕는다. 또한 상담이론을 실제에 응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탐색 및 대처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코칭 이론과 실제(Theories and Practices of Coaching)
코칭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의 발달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진로·진학·학습 컨설팅 현장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 역량을 함양한다.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s)
검사의 제작, 척도화, 검사를 이용한 연구 등 측정심리에 관한 연구를 직접 계획, 실습하고 평가를 받는 과목으로 논문작성 시 도구를 선정하고 사용하거나 상담 시 도움이 되도록 한다.
발달심리(Developmental Psychology)
인간의 출생으로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인간 발달과정을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측면 등에서 고찰하고 인간의 발달적인 측면을 총체적으로 다룸으로서 인간이해를 도모한다.
이상심리(Abnormal Psychology)
현대사회에서 부적응행동으로 야기되는 비정상적 행동, 이상성격, 신경증 및 정신 장애의 징후를 이론적으로 설명하여 진단의 기초로 삼고 그 치료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성격심리(Personality Psychology)
다양한 성격이론의 역사적 변천과정, 성격의 구조, 성격발달 및 성격의 역동과 행동의 관련성 등에 대해 비교 연구함으로써 여러 성격이론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인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는다.
진로학습 컨설팅 전문가 역량 개발 및 직업윤리(Legal and Ethical Issues in Coaching of Career and Learning)
진로·진학·학습 코칭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률적, 제도적,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전문가로서 필요한 대처방략 및 문제해결 역량을 기른다.
특수아상담(Counseling for Disabled and Gifted Children)
신체적, 지적 및 정서적 특수아들의 특징들을 개관함으로써 학습부진 및 영재아 주제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이들의 발생원인 판별도구 및 지도 방안 등을 모색하여 상담을 통해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그 원리와 이론을 학습한다. 게 되는 실제 영재아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 적용력이 높은 상담기법과 기술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
행동수정의 기본원리와 기법을 학습하고 아동·청소년의 행동특성별 지도 및 평가방법을 공부한다.
진로·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rograms in Career and Learning)
진로·진학·학습 관련 프로그램의 원리와 목적에 대해 이해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역략을 함양한다.
연구방법(Research Methodology in Counseling and Coaching)
상담 및 코칭 분야의 연구 방법에 대한 철학, 주제선정, 자료수집 절차, 분석 방법 그리고 결과 해석에 관한 이론적 접근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로 하여금 독자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그 기초능력을 길러준다.
논문지도(Thesis Writing)
학위 취득을 위한 논문주제가 확정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 사항들을 이해하고 기초 역량을 함양하도록 지도한다.
진로
진로상담(Career Counseling)
진로상담과 직업상담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개인의 발달 단계별 진로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한 다양한 진로상담 이론과 그 과정 및 기법 그리고 여러 가지 진로발달 및 상담 프로그램들을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도움으로써 실제 학교나 다양한 상담 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세계와 진로·진학 정보 탐색(Exploration of Education World and Pathways Information)
교육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진학정보를 효과적으로 탐색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는 원리 및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실제에의 적용을 모색한다.
진로교육의 기획과 운영 및 진로포트폴리오 지도법 (Planning and Operating of Career Education and Portfolio Guidance)
진로진학교육 실무를 총괄시 요구되는 진로진학교육의 기획과 운영 및 성과관리기법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목적을 둔다. 나아가, 진로진학지도에 있어서 진로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진로포트폴리오 구성 및 지도에 필요한 기술을 연마한다.
학부모 진로·진학 상담(Parents Counseling Consultation in Career and Learning Issues)
아동·청소년 진로·진학 지도시 필요한 학부모 대상 진로·진학 교육 프로그램 및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기른다. 또한 학부모 상담을 위한 이론 및 기술을 학습한다.
진로진학교육 교재연구 및 교수법 (Research on Career Pathways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체계를 이해하고, 중․고등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진로와 직업」교재 및 교수법을 개발한다. 또한 「진로와 직업」과목 및 교과통합형 진로진학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이론과 실제를 습득한다.
고교입학전형제도의 이해와 실제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대학입학제도를 총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문제점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설명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또한 대입입학전형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처전략을 모색하고, 학생지도에 이를 활용한다.
학습
학습상담(Counseling for Learning)
아동·청소년의 학습과 관련한 주요한 문제를 이해하고 학습상담의 기본원리와 주요 기법들을 익힌다.
학습 이론 및 학습전략(Learning Theory and Strategy)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과 학습을 발생시키는 관련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이를 교실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는 한편, 학습이론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개발한다.
학습컨설팅(Consulting in Learning)
학습 수행에 어려움을 겪거나 효과적인 학습을 진행해 나가지 못하는 학습자들의 문제를 분석하여 이들이 학습과정을 원활히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학습방법, 기술, 전략, 학습동기, 학습태도, 학습행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전문적 도움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배양한다.
교육연구 및 평가 (Educational Research & Evaluation)
교수·학습 분야의 다양한 주제와 관련된 최신 연구와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수·학습 분야의 연구주제를 알고,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과 절차를 학습한다.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Self-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학습과 관련한 주요 이슈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학습자가 학습과정의 주인이 되는 자기주도학습의 이론을 이해하고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적용방법 등을 개발한다. 또한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작업방식으로서 협동학습의 다양한 방법과 유형을 이해한다.
스마트 러닝과 미래교육 개발(Development of Smart Learning & Future Education)
스마트교육의 의미와 현황, 과제, 이슈 등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미래교육의 모습을 진단한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스마트 러닝을 교육매체 및 교육공학의 발전과정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미래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특전
- 1학위 논문을 학점이수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 2토요일 주말 1일 수업으로 진행됩니다.
- 3졸업자는 국가자격 청소년상담사 2급, 한국상담심리학회 및 한국상담학회 심리상담사 자격 응시 조건을 갖추게 됩니다.
- 4수도권 유일의 진로와 학습 두 전문 분야를 동시에 아우르는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